해외마케팅(시장) 보고서
[미국 무역 동향] 4월 미국 무역수지 전월대비 2.1% 감소한 462억 달러 2018.06.18 |
---|
|
□ ’18년 4월 미국 무역수지 적자는 전월대비 2.14% 감소한 462억 달러로 집계됨 ㅇ 수출은 전월대비 0.28% 증가한 2,112억 달러를 기록하였으며 수입은 전월대비 0.17% 감소한 2,574억 달러를 기록하면서 무역적자는 전월대비 감소 ㅇ 최근 트럼프 정부의 보호무역 정책의 영향력이 확대되면서 대미 통상 마찰이 지속되는 가운데 미국의 자국우선주의적 무역 전략은 무역 적자를 축소시킬 것으로 예상됨 - 트럼프 정부는 주요 교역 상대국의 수입 상품에 대한 고율 관세를 적용하는 등 무역보복성 조치를 적용하면서 무역 적자 증가폭을 지속적으로 감소시킬 것으로 전망됨
- 미국의 식품, 산업용품 및 자재, 소비재 등의 수출 증가는 무역수지 적자폭을 축소시킨 것으로 나타남 ㅇ 미국의 무역수지 적자는 전월대비 2.14% 감소하여 462억 달러를 기록 - 15개 주요 교역국 가운데 네덜란드(20억 달러), 영국(8억 달러), 브라질(6억 달러), 싱가포르(6억 달러) 등 4개국과의 교역에서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한 반면, 중국(-259억 달러), 일본(-62억 달러), 독일(-60억 달러), 멕시코(-57억 달러) 등 나머지 11개국과의 무역수지는 적자를 기록 - 주요 교역국 중 무역수지 적자가 증가한 국가는 인도, 독일, 한국 등으로 나타남 - 주요 교역국 중 무역수지 적자가 증가한 국가는 인도(65.14%), 독일(15.94%), 한국(49.81%) 이탈리아(12.71%)등이며, 무역수지 적자가 감소한 국가는 멕시코(-29.82%), 아일랜드(-1.27%), 일본(-1.57%) 으로 나타남 □ 미국 상품 수출은 식품, 산업 용품 및 자재, 소비재의 증가가 두드러졌고, 서비스 수출은 전기통신, 수송 및 운송 서비스 등의 증가가 부각을 나타냄 ㅇ 수출 상품 중 식품(예: 곡식류(29.67%), 콩(18.43%), 기타식품(4.20%), 육류 및 가금류(1.60%) 등)의 증가가 두드러진 반면, 수출 상품 중 자본재(-2.99%)는 전월대비 감소함 ㅇ 수출 서비스 중 전기통신(1.04%), 수송 및 운송(0.98%), 금융(0.91%), 기타 비즈니스(0.87%) 서비스 등은 전월대비 증가했으나, 정비 및 수리(-2.44%) 서비스는 전월대비 감소함 □ 미국의 상품 수입은 산업 용품 및 자재(철강제품, 석유제품 등)의 증가가 두드러졌고, 서비스 수입은 지적재산 운용, 수송 및 운송, 기타 비즈니스 서비스 등의 증가가 부각됨 ㅇ 수입 상품 중 산업 용품 및 자재(예: 철강제품(12.42%), 석유제품(11.85%), 원유(7.77%) 등)는 전월대비 증가 - 수입 상품 중 소비재(-5.10%), 기타 상품(-3.16%), 자동차(-2.92), 식품(-0.47%)은 전월대비 감소 ㅇ 수입 서비스 중 보험(-0.85%), 정비 및 수리(-0.30%), 정부 상품(-0.11%), 여행(-0.02%)서비스는 전월대비 감소함
※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 |